매년 새해가 되면 "내가 올해 받을 연봉의 실 수령액은 얼마나 될까?" 하고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을 것 같습니다. 많은 분들이 아시겠지만, 매월 받는 월급은 연봉의 규모에 비해 훨씬 적은 금액으로 지급이 됩니다. 그 이유는 아래의 두 가지 공제금액이 차감되기 때문입니다.
1. 의무 4대 보험 (국민연금, 건강보험, 장기요양보험, 고용보험)
2. 소득세 및 지방세
오늘은 실 수령액을 산출할 때 고려해야 할 공제액과 연봉별 실 수령액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의무 4대보험
의무 4대 보험은 아래의 본인부담금 비율로 산출되어 연봉에서 차감됩니다.
- 국민연금: 본인부담금 4.5%
- 건강보험: 본인부담금 3.33%
- 장기요양보험: 건강보험의 10.25%
- 고용보험: 0.8%
소득세 & 지방세
소득세율은 아래의 구간별 세율을 적용하여 산출됩니다. 예를 들어, 연봉이 5,000만원이면, 첫 1,200만원까지는 6%를 적용하고, 1,200~4,600만원구간에서는 15%를 적용하며, 마지막 400만원은 24%만 적용하면 됩니다.
실수령액 표
오늘은 연봉에서 실 수령액을 산출할 때 어떤 항목들이 고려되는지, 그리고 연봉별 실 수령액은 얼마나 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원하는 정보를 얻으셨길 바라며, 모두가 부자 되기를 바라겠습니다~
'잡동사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내 돈내고 하는 리뷰] 에르고미 랩데스크 (a.k.a. 허지웅 독서대) (4) | 2020.03.20 |
---|---|
[추경, 국가부채, 국가채무비율] 이해하기 (0) | 2020.03.19 |
[킹덤 시즌 3 제작] 홍콩에서 난리난 킹덤 (2) | 2020.03.17 |
[시그널 시즌 2] 방영일과 출연진 (0) | 2020.03.16 |
[내 돈내고 하는 리뷰] 나그참파에 대한 이해와 후기 (5) | 2020.03.1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