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잡동사니

[2020 연봉 실수령액] 월급 실수령액 표

매년 새해가 되면 "내가 올해 받을 연봉의 실 수령액은 얼마나 될까?" 하고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을 것 같습니다. 많은 분들이 아시겠지만, 매월 받는 월급은 연봉의 규모에 비해 훨씬 적은 금액으로 지급이 됩니다. 그 이유는 아래의 두 가지 공제금액이 차감되기 때문입니다. 

1. 의무 4대 보험 (국민연금, 건강보험, 장기요양보험, 고용보험)

2. 소득세 및 지방세

오늘은 실 수령액을 산출할 때 고려해야 할 공제액과 연봉별 실 수령액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
의무 4대보험

의무 4대 보험은 아래의 본인부담금 비율로 산출되어 연봉에서 차감됩니다.

- 국민연금: 본인부담금 4.5%

- 건강보험: 본인부담금 3.33%

- 장기요양보험: 건강보험의 10.25%

- 고용보험: 0.8%

 


소득세 & 지방세

소득세율은 아래의 구간별 세율을 적용하여 산출됩니다. 예를 들어, 연봉이 5,000만원이면, 첫 1,200만원까지는 6%를 적용하고, 1,200~4,600만원구간에서는 15%를 적용하며, 마지막 400만원은 24%만 적용하면 됩니다.


실수령액 표

출처: 비즈폼 (http://magazine.bizforms.co.kr/view.asp?number=8215&p_bms_code=bs3217434441017)

 

오늘은 연봉에서 실 수령액을 산출할 때 어떤 항목들이 고려되는지, 그리고 연봉별 실 수령액은 얼마나 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원하는 정보를 얻으셨길 바라며, 모두가 부자 되기를 바라겠습니다~